본문 바로가기
아줌마의 생활백과

소득이 적어도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 총정리 (2025년)

by 이끼꽃 2025. 4. 13.

2025년 근로장려금 총정리 인포그래픽. 한 남성이 동전과 서류를 들고 있으며, '수급 자격: 가구 유형, 소득, 재산', '최대 300만 원', '5월에 신청하세요'라는 문구가 큼직하게 적혀 있다. 하단에는 '직장 다니는 저소득층 대상이라 관심 많음'이라는 설명이 있다
출처:챗gpt 이미지 생성

 

"소득은 적은데, 자꾸 빠듯하기만 하다"는 분들을 위해

"일은 쉬지 않고 하는데, 통장은 항상 텅 비어 있고…."
혹시 이런 생각, 한 번쯤 하신 적 있으신가요?

요즘같이 물가가 오르고 세금은 빠져나가고, 가족 부양에 교육비까지 겹치면 한숨만 나오는 날이 많습니다.
특히 맞벌이를 해도 한계가 느껴지는 저소득 가정, 혹은 혼자 벌어 가정 꾸리는 분들에겐 더욱 절실하죠.

그래서 오늘은, 정부가 일하는 사람을 응원하는 정책 중 하나인 ‘근로장려금’ 제도를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매년 신청 기간이 되면 수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이 제도,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놓치기 쉬운 팁은 없는지
꼼꼼하게 풀어드릴게요.

이 글 하나로, 2025년 근로장려금에 대한 궁금증을 말끔히 해결해 보세요.

일하는 저소득층을 위한 2025 근로장려금 완벽 가이드

1. 근로장려금이란? 꼭 알아야 하는 제도의 취지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은 사람’에게 정부가 직접 현금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열심히 일하는데 생활이 빠듯하다면 그만큼 도와줄게요"**라는 정책이죠.

✔ 단순히 돈을 주는 것이 아니라,
✔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 빈곤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제도로,
우리나라에서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됐습니다.

2. 2025년 근로장려금 수급 자격은?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함)
근로장려금은 아래의 ①가구 유형, ②총소득, ③재산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받을 수 있어요.

① 가구 유형 구분

가구 유형 설명
단독가구 배우자·부양 자녀·직계존속이 없는 1인 가구
홑벌이 가구 배우자, 부양 자녀, 부모 중 1명 이상 부양 중 (배우자는 소득 없음)
맞벌이 가구 본인과 배우자 모두 일정 수준의 소득이 있음 (근로/사업/종교인 소득)

 

예를 들어, 자녀는 없지만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경우라면 홑벌이 가구로 분류될 수 있어요.
이 부분에서 헷갈려서 신청을 놓치는 분도 많습니다.

② 총소득 기준 (2024년 소득 기준, 2025년 신청 시 적용)
근로장려금은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2025년 신청 시에는 2024년에 벌었던 총소득이 아래 금액 이하여야 해요.

가구 유형 연 총소득 기준
단독 가구 2,200만 원 이하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이하
맞벌이 가구 3,800만 원 이하


여기서 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을 포함하며, 공무원이나 정규직, 아르바이트 등 모두 해당돼요.

③ 재산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의 총 재산이 2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여기엔 주택, 자동차, 예금, 보험, 주식, 토지 등 모든 재산이 포함돼요.
금융자산도 포함되므로 통장 잔액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 참고: 재산이 1억 4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액의 50%만 지원돼요.

3.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 금액은 얼마일까?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과 총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급받는 구조죠.

가구 유형 최대 지급 금액
단독 가구 150만 원까지
홑벌이 가구 260만 원까지
맞벌이 가구 300만 원까지


💡 단, 소득이 많아질수록 금액이 점차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단독가구 소득이 1,000만 원이면 10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지만,
소득이 2,100만 원이면 30~40만 원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어요.
※ 실제 지급액은 국세청 계산방식에 따라 자동 산정되므로, 예상 지급액은 ‘홈택스’에서 모의 계산을 해볼 수 있어요.

4.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및 시기 (2025년)
근로장려금은 정기 신청과 반기 신청(근로소득자 한정)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정기 신청 (모든 대상자)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지급 시기: 2025년 8월말 ~ 9월 중
📌 정기 신청은 가장 일반적이고 안정적인 방식이에요.

✅ 반기 신청 (근로소득자만 가능)
상반기 소득분: 2024년 9월 신청 → 12월 지급
하반기 소득분: 2025년 3월 신청 → 6월 지급
※ 사업소득자는 반기 신청 불가능

📌 반기 신청은 빨리 받을 수 있지만 총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어요.
전체 장려금의 35%만 선지급되고, 나머지는 정산 시 지급됩니다.

✅ 신청 방법
홈택스 웹사이트 또는 손택스 앱
ARS(1544-9944) 전화로 간편 신청
세무서 방문 신청도 가능 (노년층 대상)
📌 홈택스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 가구 유형 확인 → 본인 계좌 입력 → 신청 완료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소득이 없거나 너무 적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소득이 ‘0원’이면 신청이 안 됩니다. 반드시 근로, 사업, 종교인 소득이 있어야 해요.

Q. 국민기초생활수급자도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생계급여 등 다른 급여와의 ‘중복 수급 여부’에 따라 금액이 조정될 수 있어요.

Q. 차량은 재산에서 빠지나요?
A. 아닙니다. 차량도 재산에 포함되며, 시가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이런 제도가 있는 줄 알았으면 진작 신청했을 텐데…”

근로장려금은 정말 많은 분들이 몰라서 못 받거나, 헷갈려서 신청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아깝고, 안타까운 일이죠.

정부는 단순히 ‘돈을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
묵묵히 일하면서도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보내는 실질적인 응원을 하고자 이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혼자 살면서 생활비에 허덕이는 1인 가구
가족을 부양하며 월급에 의지하는 홑벌이 가정
맞벌이지만 월세와 교육비로 여유가 없는 분들…

이런 분들이 가장 먼저 챙겨야 할 제도가 바로 근로장려금입니다.
신청하는 데 5분도 안 걸리고,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300만 원까지 될 수 있어요.

올해는 꼭 놓치지 말고, 5월이 되기 전 미리 미리 준비해 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분께도 공유해주세요.